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04/2019060400848.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news
'아프면 싸운다' 가족 갈등 가장 큰 원인은 건강 문제
가족 간 갈등을 초래하는 가장 큰 원인은 구성원의 건강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경제적 어려움과 취업·실업 문제가 꼽혔다.
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의 '2018년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가구들은 가족 간 갈등원인의 1순위로 '가구원 건강'을 가장 많이 들었다.
연구팀은 2018년 2~5월 복지패널 4266가구를 대상으로 2017년 1년간 가족 문제와 가족 갈등 대처 방법을 조사했다.
가족 간 갈등원인. /연합뉴스
조사 결과, 절반에 가까운 47.93%가 '가구원의 건강'을 가족 갈등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했다. 부채나 카드빚 문제 같은 '경제적 어려움'(20.78%)이 그 뒤를 이었고, '가구원의 취업 및 실업'(10.21%)이 세 번째를 차지했다.
이어 '자녀교육 혹은 행동'(6.98%), '가구원 간 관계'(3.81%), '주거 관련 문제'(3.35%), '자녀의 결혼문제'(3.31%), 기타(2.5%), '가구원의 알코올'(0.86%), '가구원의 가출'(0.15%), '가족 내 폭력'(0.1%) 등의 순이었다.
조사 결과를 소득에 따른 가구 유형별로 살펴보면, 저소득 가구(중위소득 60% 이하)는 '가구원의 건강'이라는 응답 비중이 62.7%에 달해 일반 가구(39.82%)보다 훨씬 높았다.
'경제적 어려움'이 가족 갈등의 원인이라는 대답 역시 저소득 가구는 23.91%로 일반 가구(19.06%)보다 많았다.
다만 '가구원의 취업 및 실업'(6.12%), '자녀교육 혹은 행동'(1.57%), '가구원 간 관계'(1.50%), '주거 관련 문제'(1.72%), '자녀의 결혼문제'(1.10%) 등은 일반 가구보다 현저히 낮을뿐더러 평균보다 적었다.
조사 대상 가구 중에서 부모와 따로 떨어져 생활하는 가구는 45.51%로 절반에 가까웠으며 이 경우 지난 1년간 부모와의 왕래횟수는 전체 평균 38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저소득 가구의 부모 왕래횟수가 42회, 일반 가구는 38회로 저소득 가구가 4회 더 많았다.
지난 1년간 따로 사는 부모와의 전화 통화 횟수는 전체 평균 89회로 나타났다.
<조선일보> 이혜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