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7/26/2019072600356.html
"다른 거 없슈~ 노래하는 농부, 그게 꿈이여유~"
'8년차 농부' 16세 한태웅군, 한국농어촌공사 홍보대사 위촉… 직접 키운 쌀 청와대 전달하기도
"매일 5시에 일어나 소 먹이 주고 논밭에 물까지 대고 학교 가죠"
'음메~.' 염소가 쉴 새 없이 울어대는 한적한 시골에서 사춘기 소년이 말했다. "요즘 비가 안 오는 게 인생 최대 고민이유." 소년 농부 한태웅(16)군은 "두 달 전 심은 들깨가 전부 타 죽었슈"라며 울상을 지었다. "물도 못 퍼다주는 비탈밭이라 엊그제 갈아엎고 모두 다시 심었지 뭐예유. 올해 밭농사 포기할까도 했는디, 농사꾼이 어떻게 땅을 놀리겄슈."
다큐멘터리·예능 프로그램에 연이어 출연한 그는 작년 12월 청와대에서 열린 '농업인 초청 간담회'에 농업인 자격으로 참석, 대통령에게 직접 농사지은 '태웅미(米)' 5㎏을 전달하더니 지난달엔 한국농어촌공사 홍보대사도 됐다.
꼬마 때부터 논밭이 놀이터였다. 이앙기가 들어갈 수 없는 구석 자리에 모를 한두 개씩 심고 나왔던 게 시작이었다. "훌쩍 자라 가을에 벼가 되니께 뿌듯했슈. 낱알은 쌀 되고, 추수 뒤 볏짚은 소 먹이 되지 않어유? 농사는 많은 생명에게 도움 주는 귀한 일이라 느꼈쥬."
중학교에 들어가자 아빠, 엄마에게 '농부가 되겠다' 했지만, 곧 격렬한 반대에 부딪혔다. "조부모께서 고생하시는 모습을 보셨기 때문"이라고 했다. 농고가 멀어 가까운 안성두원공고에 진학한 후에도 변함없이 부지런한 모습을 보여주자 설득이 됐다. "등교 시간은 9시지만서두 새벽 5시에 일어나 소 먹이 주고, 논밭에 물도 대유. 6시 반쯤 일어나믄 늦잠 잔 거유." 작년엔 부모님이 농업용 트랙터도 마련해 줬다. "농번기 땐 수업 내내 졸아요. '스마트 팜' 배우러 농대에 가고 싶은디, 성적 때문에 고민이쥬."
시행착오도 많았다. 처음엔 '많은 게 좋은 거'란 생각으로 논에 과하게 비료를 줬다 낭패를 봤다. 알맹이가 지나치게 맺히면 바람에 금방 쓰러진다는 것.
태웅군은 "애가 무슨 농사냐고 눈총도 받았는데, 요즘은 동네 어르신들이 소작도 준다"고 했다. 덕분에 3500평이던 논밭이 어느새 훌쩍 늘었다. 4000평 논을 관리하고, 3000평 밭엔 고추·들깨와 소 사료 작물을 심는다. 작년부터는 할아버지 도움 없이 혼자 논농사를 시작했다. 첫 수확은 쌀 7t 정도다.
대농(大農)이 되고 싶다는 태웅군에겐 한 가지 꿈이 더 있다. 노동요를 부르는 '농촌 가수'가 되는 것. '흙에 살리라' 한 소절을 구성지게 뽑아낸 그는 "농번기로 바쁜 농업인들에게 노래로 힘을 주고 싶다"고 했다. "가끔 몸살도 앓고 힘도 들지만서두 잡초 깎고, 여물 주고 하루 제 할 일 허믄 그렇게 개운할 수 없시유. 풍년이유? 가물든, 홍수든 제 할 일 다하고 풍년은 하늘에 맡기는 거지유."
<조선일보> 조유미 기자
* 지면 구성상 내용을 일부 편집 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