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mk.co.kr/news/it/view/2020/07/691367/
온라인 수업시대 우리 아이 눈 건강 관리방법은?
"요즘 온라인 수업 때문에 행여나 아이 눈이 안 좋아질까 걱정이에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수업이 장기화됨에 따라 불가피하게 학생들이 컴퓨터 및 태블릿 PC의 화면을 들여다보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 한 곳을 가까운 거리에서 오랜 시간 집중해서 볼 경우 자녀들의 눈 건강을 해칠 수 있으며, 이를 염려하는 학부모들의 문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영상 단말기기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근막통증증후군, 손목터널증후군, 거북목 등 온몸에 걸쳐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실제 영상기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눈에 미치는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그 중에서도 조절장애, 사시로 인한 복시, 안구건조증 등을 꼽을 수 있다.
조절장애는 컴퓨터, 스마트폰, 독서 등 근거리 작업을 장시간 지속할 경우, 초점을 정확히 맺는
기능이 떨어져 눈이 피로해지고 시야가 점차 흐려지는 증상이다. 눈 속 근육들이 초점을 맞추기 위해 긴장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시야가 흐려지는 조절장애를 겪거나 심할 경우 두통이 발생하기도 한다. 대개의 경우, 조절장애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증상이 호전되지만 안구가 발달하는 시기인 9세
이하 어린이들은 조절장애가 진성 근시로 진행될 우려가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화면을 집중해서 보면 평소보다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로 인해 눈물 증발량이
증가해 안구건조증이 생길 수 있다.
화면 크기도 눈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데, 태블릿 PC와 같이 화면 크기가 작을수록 화면에 표시되는 글자나 그림이 작게 표시된다.
이를 크게 보기 위해서 화면을 가까이 당겨서 보면 조절력 과다 사용, 눈 몰림 등으로 인해
가성근시, 사시 등 안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갈수록 확대되는 온라인 수업의 시대, 어떻게 하면 자녀의 눈 건강을 지킬 수 있을까? 우선 자녀가 화면과 눈 사이에 50cm 정도의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가까운 거리에서 오랫동안 한 화면을 보면 눈의 피로도가 쌓일 수 있으므로, 한 과목의 수업이 끝나면 자녀가 먼 곳을 보며 눈에 충분한 휴식을 줄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좋다. 바른 자세에서 화면을 보고 있는지 점검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온라인 수업시대 우리 아이 눈 건강 지키려면>
1. 화면과 눈 사이는 50cm 정도 적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2. 40~50분 수업 후에는 10분씩 쉬면서 눈을 감고 있거나 먼 곳을 바라본다
3. 영상 단말기기 화면 높이는 눈보다 낮게 하고 화면 밝기는 적절하게 맞춘다
4. 눈이 피로할 때는 눈을 자주 깜빡인다
5. 정기적으로 안과검진을 받는다
6. 균형잡힌 식사와 비타민이 풍부한 녹황색 채소, 과일을 섭취한다
<매일경제> 이병문 기자
<* 지면 구성상 내용을 일부 편집 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