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mk.co.kr/v3/view.php?year=2011&no=4451
[은퇴 재테크] 은퇴 재테크, 현금성자산 비중 40%는 돼야
가입한 개인연금 없다면 매달 지급되는 즉시연금 관심
광주에 살고 있는 박형식 씨(가명ㆍ54)는 50세에 명예퇴직한 후 부인(50)과 함께 생활하고 있다. 박씨는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시가 6억원 상당) 한 채 외에 부부 각각 명의로 된 아파트 한 채씩(각각 5억원, 3억원)을 보유하고 있다. 박씨 부부는 당초 노후를 임대소득으로 준비할 계획이었기 때문에 아파트 두 채 외에 추가로 다른 예금이나 보험은 없다.
하지만 예상보다 은퇴가 앞당겨져 아직 대출원금과 이자도 다 갚지 못한 데다 금융위기 이후 지방 부동산 가격이 폭락하면서 월세도 폭락해 매월 손에 쥐는 임대소득은 180만원에 불과하다. 박씨는 본인 포트폴리오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전문가에게 도움을 청하기로 했다. <중략>
◆ 부동산 줄이고 금융자산 확대
금융투자협회가 지난해 하반기 발표한 `주요국 가계금융자산 비교`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금융자산 비중이 평균 20.4%에 불과해 미국(64.9%) 일본(58.7%) 영국(45.2%)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씨는 현재 20%에 불과한 주식, 펀드, 채권 등 금융자산 비중을 70%까지 늘려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중략>
특히 그간 고정적인 소득과 부동산 가치 상승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많은 은퇴 생활자들이 선호해온 부동산 임대소득은 재고할 때라고 입을 모은다.
임대형 부동산은 상권 이동에 따른 임대료 하락 위험, 종합부동산세와 재산세 등 세금 부담, 건물 노후에 대한 수리비ㆍ재건축 비용, 세입자 관리 등을 감수해야 한다. 또 고령화로 인한 신규 수요 감소,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노인 단독가구 증가 등으로 예전과 같은 부동산 호황은 누리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중략>
◆ 즉시연금ㆍ보장자산 확보해야
<중략> 박씨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대출 원금과 이자(1억원 상당)를 청산하는 일이다. 노후에 빚을 지고 가는 것은 현재 지출 비용에 과거 비용과 이자까지 부담하게 된다는 의미다.
따라서 부동산을 처분하고 현금 흐름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노후에 연금 재원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은 많지 않지만 그나마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 `즉시연금`이다.
즉시연금은 개인연금에 가입할 시기를 놓쳐 뒤늦게 노후소득을 준비하려는 은퇴 예정자 또는 은퇴자들을 위한 금융상품이다. 만 45세 이상 가입자가 최저 1000만원 이상 목돈을 넣어두면 매달 연금을 받을 수 있다.
즉시연금에는 `종신형`과 `상속형`이 있다. 종신형은 사망 시까지 매달 연금을 받고, 10~20년 등 보증기간 안에 사망하면 보증기간 만료 시까지 유족에게 연금이 지급된다. 반면 상속형은 10~30년간 확정된 기간에 이자로만 생활비를 받다가 원금은 만기보험금이나 사망보험금 등으로 되돌려주는 형태다.
보험료 1억원을 내면 종신형은 약 50만원, 상속형은 약 38만원을 매월 수령할 수 있다. 다만 1억원은 의료비 용도로 유동성이 높은 금융상품에 넣어둬야 한다.
<매일경제> 전정홍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