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ccess] 한국인은 금관악기를 못 분다? 그 편견에 도전한 겁없는 청년
글쓴이 : 최고관리자 날짜 : 2012-09-07 (금) 10:26 조회 : 10791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9/04/2012090400099.html

 

한국인은 금관악기를 못 분다? 그 편견에 도전한 겁없는 청년

 

[스웨덴 왕립 오케스트라 호른 제2수석으로 영입된 김홍박씨]

30명과 3차 경합 끝에 합격

고교때 매일 남아 밤까지 연습학교 복도가 리사이틀 공연장

"선입견 깨고 싶은 오기 생겨 클래식 본고장서 도전할 것"

 

프로 야구와 축구 선수만 미국과 유럽 명문 구단에 진출하는 게 아니다. 국내 악단에서 기량을 다진 젊은 단원들도 해외 명문 오케스트라로 진출하는 시대다. 그러나 바이올린이나 피아노 분야 해외 진출자는 여럿 있지만, 한국인이 유독 약한 금관악기 부문에서는 거의 없었다. 최근 이 경향을 깬 사례가 나왔다.

 

서울시향 전 호른 부수석 김홍박(30)씨는 최근 스웨덴 왕립 오페라극장 오케스트라의 제2수석으로 영입됐다. 스웨덴 왕립 오페라극장은 18세기 건립된 북유럽의 명문 극장으로, 김씨는 유럽의 호른 주자 30여명과 함께 3차에 걸쳐 오디션을 펼친 끝에 합격했다. 한국인은 호른 같은 금관악기를 잘 다루지 못한다는 국제 음악계의 혹평을 깨는 쾌거로 음악계는 받아들이고 있다.

 

1 2녀 가운데 막내인 그는 성악을 전공한 큰누나의 영향으로 14세 때부터 호른을 불었다. "호른은 부드러우면서도 탄탄한 음색을 갖고 있어서 연주하면 노래하는 기분이 든다"고 했지만, 처음 몇 달간은 제대로 음정을 잡기도 쉽지 않았다. "수업에 지각도 밥 먹듯이 했고, 선생님(최경일 부천 필하모닉 수석)이 오셔도 문을 안 열어주거나 숨기에 바빴죠." 하지만 개구쟁이 제자가 아무리 도망 다녀도, 선생님은 결코 화내거나 꾸짖지 않고 조용히 기다렸다고 한다. 김씨는 "그때 선생님이 기다려주셨기에 오늘날 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예고에 진학해서는 방과 후에도 매일 학교에 남아 밤 10시까지 친구들과 함께 연습할 만큼 합주의 재미에 푹 빠졌다. 그는 "금관이 쩌렁쩌렁하게 울리는 학교 복도가 '리사이틀 공연장'이었다"고 했다. 김씨는 "악기와 악기가 만나서 또 다른 소리를 낸다는 것이 정말 신기했다. 오케스트라 악보를 꺼내 밤새 연습하고 시청각실에서 몰래 잠들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는 고교 때 대학 주최 콩쿠르에 두루 입상했고, 고교 3학년 때는 부천 필하모닉의 말러 교향곡 전곡 시리즈에 객원 연주자로 참가할 만큼 '겁 없는 소년'이었다. 김씨는 "1999~2003년 진행된 말러 교향곡 시리즈 연주에 참여하면서 고교와 대학 시절을 보냈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대 음대 졸업 후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에서 공부하던 중 2007년 지휘자 정명훈의 러브 콜을 받고 서울시향에 합류했다. 4년간 활동 후 작년 오스트리아로 건너가 석사 과정을 마쳤고, 올해 스웨덴 오케스트라 오디션에서 합격했다. 그는 지난달 일본 도쿄에서 열린 국제 금관·타악 콩쿠르에서도 대상을 차지했다.

 

호른을 비롯한 금관은 흔히 한국 오케스트라의 취약점으로 불린다. 하지만 그는 출국 직전인 1일 인터뷰에서 "금관 악기에 대한 편견이나 선입견을 들을 때마다 오히려 오기와 근성이 생긴다. 호른 연주자로서 클래식의 본고장에서 어디까지 통할 수 있는지 도전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김성현 기자





이름 패스워드
html
비밀글 (체크하면 글쓴이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

게시물 5,265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40 [웰빙]  파란하늘 황금들판 가을에 떠나는 축제 여행 최고관리자 09-13 7282
1139 [success]  고민 털어놓을 친구 만들고 사색하며 걸어라 [직장인 스트레스 … 최고관리자 09-13 6856
1138 [통계자료]  한국 공교육 학부모 부담 12년째 세계 1위 최고관리자 09-13 7403
1137 [건강]  당뇨병 환자 20명중 1명꼴 암에 걸려 최고관리자 09-13 8018
1136 [생활경제]  재테크 첫 단추 000로 꿰자 최고관리자 09-13 6770
1135 [마케팅뉴스]  중년 가장 지켜주는 보험 건축학 개론 최고관리자 09-13 6988
1134 [success]  한국인은 금관악기를 못 분다? 그 편견에 도전한 겁없는 청년 최고관리자 09-07 10792
1133 [통계자료]  月 소득 200만원 직장인, 30년 부어도 月 62만원밖에… 최고관리자 09-06 10352
1132 [재테크]  은퇴 후 30년…최소 3억~4억 필요 최고관리자 09-06 9664
1131 [마케팅뉴스]  최저 2만원대 비갱신형 암보험 출시 최고관리자 09-06 10051
1130 [생활백과]  속 거북할 땐 무•매실•양파…속 쓰릴 땐 양배추R… 최고관리자 09-06 10625
1129 [맛있는밥상]  쌀 속 영양이 고스란히… 약 끊게하는 현미밥 드세요 최고관리자 09-06 10069
1128 [웰빙]  느릿느릿 걷다… 어느새 마음이 가벼워졌다 최고관리자 09-06 9907
1127 [건강]  건선, 건조하고 햇볕 덜 쬐는 환절기에 악화돼 최고관리자 09-06 9982
1126 [통계자료]  2035년 전남•북과 경북 네 집 중 한 집 독거노인 최고관리자 08-30 10272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