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mk.co.kr/news_forward.php?domain=news&no=670461&year=2012
10명중 8명 암 진단후 실직…암보험이 생명줄
'83.5%.' 암 진단 후 직장을 잃거나 그만두게 된 암환자의 비율이다.
2010년 한 국회의원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암을 진단받기 전 직장을 가진 261명 가운데 진단 후 직장을 잃은 비율은 '10명 중 8명'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
암환자의 대다수가 실직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는 얘기다. 10명 중 한두 명만이 기존 직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 가구의 최대 공포는 소득원을 상실한다는 점이다. 김대환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가구주의 암 발생으로 인해 가구원 모두가 생계를 위협받을 수 있다"며 "암 치료에 들어가는 직접비용보다 사망에 따른 소득 상실로 인한 사회적 간접비용이 더 크다"고 지적했다.
국립암센터가 발표한 암환자 1인당 비용 부담을 보면 백혈병이 6700만원으로 가장 높다. 이어 간암(6622만원), 췌장암(6371만원), 폐암(4657만원) 등 순이다.
치료비 외에도 간병비, 교통비, 대체요법 등 추가 비용을 포함하면 고액의 비용 부담을 초래할 수 있다. 암 발병에 대한 공포보다도 치료비나 간병비에 대한 부담이 더욱 큰 비중을 차지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암환자의 절반 이상은 암보험을 들지 않고 암 투병생활을 하고 있을 만큼 심각하다. 특히 일반 가정에 비해 저소득 가정일수록 더욱 그렇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암환자의 44.9%만이 민영 암보험 가입자다. 전체의 55.1%는 민영 암보험을 통한 손실 보전 없이 암을 이겨내고 있다는 뜻이다.
기초생활보장수급자나 차상위계층의 민영 암보험 가입률은 22.0%로 건강보험 가입자의 민영 암보험 가입률 47.4%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김대환 연구위원은 "정액형 보험의 기본 기능은 의료비와 소득 상실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라며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이 확대되더라도 소득 보전을 위해 암보험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고, 노후 준비를 위해서라도 암보험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암의 재발률과 전이율이 상승하면서 암보험도 이에 따라 진화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 후 암보험에 가입해야 한다. '두 번째 암'을 보장하는 상품, 보험료가 만기 시까지 오르지 않는 비갱신형 상품, 진단 없이 가입할 수 있는 상품, 70대 고령자도 가입할 수 있는 암보험 등 특색 있는 상품이 대거 출시돼서다.
우선 두 번째 암 진단비 보험은 보험 가입 후 두 번째로 발생한 일반암을 보장해주는 상품이다. 두 번째 암보험은 지난해를 기점으로 판매되기 시작해 지금 10여 개사 상품이 판매 중이다.
두 번째 암이 발생한 기관이 첫 번째 암과 다른 경우에만 보험금을 지급하는 상품과 첫 번째 암과 상관없이 지급하는 상품이 있기 때문에 상품별로 보장 내용을 확인해야 한다.
매일경제 김유태 기자
<*지면 구성상 내용을 일부 편집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