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자료] 은퇴한 당신, 연 3050만원 원하지만 버는 건 2150만원
글쓴이 : 최고관리자 날짜 : 2013-01-17 (목) 11:18 조회 : 9546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olink.asp?aid=10038666&serviceday=20130116

 

은퇴한 당신, 3050만원 원하지만 버는 건 2150만원

 

5000만원을 벌던 당신이 은퇴 후 원하는 소득은 연 3050만원, 그러나 부지런히 모아 마련할 수 있는 건 연 2150만원. 노후에 대비하는 도시근로자의 이상과 현실 사이엔 '부족한 900만원'이 숙제로 자리 잡고 있다.

 

피델리티자산운용은 15일 서울대 생활과학연구소 노년·은퇴설계지원센터에 의뢰해 도시근로자의 은퇴자금 준비를 분석해 발표했다. 서울대는 통계청의 가계 동향 조사와 노동부의 임금 조사 등을 토대로 도시근로자의 은퇴 후 예상 소득을 산출했다.

 

이에 따르면 도시근로자 가구는 노후에 은퇴하기 직전 소득의 61%를 벌기를 원한다. 하지만 실제로 마련할 수 있는 건 43%로 추산됐다. 은퇴 직전에 연 5000만원( 416만원)을 벌었던 사람이라면, 은퇴 후 실제로는 그 절반도 못 되는 연 2150만원( 179만원)의 소득을 올릴 것이라는 뜻이다. 은퇴 후 소득은 개인 저축에서 연 1244만원( 103만원), 국민연금에서 연 771만원( 64만원), 퇴직연금 연 133만원( 11만원) 등에서 나온다. 보유한 부동산은 포함되지 않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은퇴 후 소득이 은퇴 전의 80%는 돼야 한다고 본다. 한국 도시근로자의 은퇴 후 소득은 그 절반밖에 되지 않고, 홍콩(50%)과 비교해도 낮다.

 

그래도 노후에 이전에 벌던 것의 43%에 해당하는 소득이 생긴다면 썩 나쁘지 않은 듯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저축과 투자를 통해 매년 6%의 수익을 올릴 수 있고, 물가는 매년 상승률 3.4%로 안정되며, 60세에 은퇴한다는 몹시 낙관적인 가정에서 나온 숫자다. 예금 금리가 연 3%대인 저금리 시대에 매년 6%의 수익을 내기는 쉽지 않다.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눈높이를 낮추고 있다. 노후대비를 위한 자산이 비약적으로 늘기는 어려워서다. 피델리티자산운용과 서울대가 조사한 목표와 현실 간의 괴리는 2년 전에 비해 줄었다. 은퇴 후 희망 소득이 은퇴 직전 소득의 몇 %인지를 나타내는 '목표소득 대체율' 2년 전 같은 조사에서 62%였지만 이번에 61% 1%포인트 낮아졌다. 은퇴 후 예상 평균 소득이 은퇴 직전 소득의 몇 %인지를 보여주는 '은퇴소득 대체율' 2년 전(42%)보다 1%포인트 상승한 43%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은퇴 준비 격차' 2년 전 20%포인트에서 18%포인트로 낮아졌다.

 

이는 은퇴 후 소득의 절반 이상을 개인저축에 의지해야 하는 현실과 관련이 깊다. 은퇴 후 소득원 중 개인저축(54.8%) 비중이 가장 높았다. '최후의 보루'인 국민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2010년 국민연금이 41%였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35.9%로 낮아졌다. OECD가 권하는 이상적인 비율은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이 4:3:1이다. 금융사의 적극적인 '은퇴상품 마케팅'도 개인저축 비중을 높이는 데 한몫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사의 연금상품 수익률은 낮고 비용이 과하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고 있다.

 

 

중앙일보 김수연 기자

<*지면 구성상 내용을 일부 편집했습니다.>







이름 패스워드
html
비밀글 (체크하면 글쓴이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

게시물 5,265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05 [success]  ‘왜 곱셈은 덧셈보다 먼저 계산할까요?’를 출간한 서울 대치초… 최고관리자 01-24 9443
1304 [재테크]  금융종합과세 기준 2000만원으로 강화… 2013 화두는 절세상품 최고관리자 01-24 10645
1303 [마케팅뉴스]  내달 14일까지 무제한 비과세 … 상속형 즉시연금에 뭉칫돈 최고관리자 01-24 9560
1302 [생활백과]  식물 기르고 숯 놔두면 가습기 없이 습도 조절 가능 최고관리자 01-24 10096
1301 [맛있는밥상]  육수에 살짝 데쳐 한입… 그맛 ‘진땅’ 최고관리자 01-24 9290
1300 [웰빙]  커피향 가득한 강릉 바다서 '힐링타임' 최고관리자 01-24 10096
1299 [건강]  독감 예방의 공식… '습도= 40~60%' 최고관리자 01-24 9781
1298 [마케팅뉴스]  상속형 즉시연금 4억 넣으려면? 부부가 2억씩 나눠 가입하면 유… 최고관리자 01-18 10623
1297 [재테크]  난 한 장만 쓰지, 2013년이니까 최고관리자 01-17 9376
1296 [통계자료]  은퇴한 당신, 연 3050만원 원하지만 버는 건 2150만원 최고관리자 01-17 9547
1295 [success]  겨울방학 아이와 잘 지내기 최고관리자 01-17 9151
1294 [생활백과]  함께 먹으면 독이 되는 건강식품들 최고관리자 01-17 9108
1293 [맛있는밥상]  비타민·항암물질 가득한 브로콜리로 푸른 식단 짜보자 최고관리자 01-17 8997
1292 [웰빙]  전북 정읍사 오솔길, 활짝 핀 눈꽃세상 설원 트레킹 최고관리자 01-17 9120
1291 [건강]  병이 보내는 작은 신호를 주목하라 최고관리자 01-17 9413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