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ccess] 手話가 아닙니다, 手語입니다
글쓴이 : 최고관리자 날짜 : 2014-09-25 (목) 09:46 조회 : 8414

http://news.donga.com/3/all/20140925/66695310/1

手話 아닙니다, 手語입니다

 

“지금까지 계속 써오던 용어인데 굳이 바꿀 필요가 없나요? 혼란만 일으킬 겁니다.

“국어의 보조수단이 아니라 청각장애인의 모국어입니다. 바꾸는 것이 맞습니다.

지난해부터 청각장애인 사이에는 수화(
手話)란 용어를 ‘수어(手語)’로 바꾸려는 것에 대해 찬반 의견이 팽팽히 엇갈렸다. 정부와 장애인단체는 오랜 의견 수렴 끝에 ‘수어’로 바꾸기로 했다.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한 ‘한국수어법’이 현재 국회에 상정돼 다음 달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왜 ‘수화’를 ‘수어’로 바꾸는 것일까?

 

○ 수어(手語)를 아십니까… 수화→수어 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그간 수화를 음성언어인 한국어를 보조하는 수단으로 여겨왔다. 한국어를 손, 몸으로 표현하는 동작 정도로 본 셈. 하지만 국립국어원의 장기간에 걸친 연구 결과 수화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처럼 한국어와 전혀 다른 문법체계를 가진 별도의 언어로 판명됐다.

우선 수화는 한국어와 외국어가 다르듯 해외 수화와 표기법이 다르다. 예를 들면 사과(국어)가 영어로는 애플(apple), 일본어로는 린고(リンゴ)로 쓰이듯 국내 청각장애인은 사과를 오른손 주먹을 쥐고 집게손가락을 펴서 입술 밑으로 스치는 형태로 표현한 반면 미국 수화는 오른손 주먹을 쥐고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오른 뺨에 대는 동작으로 나타낸다.

또 수화는 한국어 문장 그대로를 손동작으로 바꾸는 것이 아니다. 한국어는 ‘철수가 밥을 먹다’라고 표현하지만 수화는 ‘철수 먹다 밥’의 어순을 갖고 있다. 또 수화는 조사, 어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점자도 공식 문자로… 하반기 장애인 언어기본권 강화 이뤄지나
수화를 ‘수어’로 바꾸는 건 별도의 고유 언어이자 국내 공용어로 인정해 약 30만 명에 달하는 국내 청각장애인의 언어기본권을 강화하겠다는 뜻이다. 실제 뉴질랜드, 덴마크,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수화를 하나의 언어로 인정하고 있다. 1519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장애인권리위원회에서도 장애인 권익 증진을 위해 수화를 수어로 바꾸려는 한국 정책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

한국농아인협회 사무처장은 “장애인의 언어적 권리를 보호하는 독립된 법안이 없었기 때문에 기대가 크다”며 “수화가 언어로 인정되면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 시설 등 제반 환경이 장애인 권익 향상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변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화가 수어로 되면 정밀한 수어 실태조사가 이뤄지고 수어 교육, 수어교재 제작 및 보급이 체계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수어연구소, 수어통역센터도 설치되고 국가 행사는 물론이고 극장 박물관에서도 수어 해설이 보강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립국어원은 신조어, 전문용어를 표현할 수어 개발을 위해 내년 8억 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한편 시각장애인을 위해 ‘점자’를 공식문자로 인정하고 점자 차별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은 ‘점자기본법안’도 이번 정기국회 통과를 앞두고 있다.

<동아일보> 김윤종기자

<*지면 구성상 내용을 일부 편집했습니다.>

 



이름 패스워드
html
비밀글 (체크하면 글쓴이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

게시물 5,265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40 [success]  초등생 자녀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대비전략 최고관리자 10-01 9029
2039 [통계자료]  4050 치매 4년새 43% 늘어 최고관리자 10-01 8816
2038 [건강]  렌즈 껴도, 라식을 해도 시력 0.3 안될 땐 '보는 법' … 최고관리자 09-25 9234
2037 [웰빙]  두툼하니 살찐 가을 송이, 싸게싸게 갖고 가이소 최고관리자 09-25 8322
2036 [맛있는밥상]  위장 계통 암 수술환자 아니라면 생선회 먹어도 돼요 최고관리자 09-25 10489
2035 [생활백과]  과민성장증후군, 콩•배 피하고 고구마 드세요 최고관리자 09-25 8801
2034 [마케팅뉴스]  보험금 적립•연금보험•사망보장까지…종신보험 활용… 최고관리자 09-25 8504
2033 [재테크]  55~57년생 9만명 눈물의 조기연금 최고관리자 09-25 11326
2032 [success]  手話가 아닙니다, 手語입니다 최고관리자 09-25 8415
2031 [통계자료]  스트레스 찌든 30•40대 男 절반이 흡연 최고관리자 09-25 8108
2030 [메일진]  [한화생명] 2014년 10월 1차 메일진 완료 최고관리자 09-23 5125
2029 [건강]  30代 이하에 많이 생기고 최근 급증 추세 최고관리자 09-18 5368
2028 [웰빙]  소통하라, 자연..일상의 쉼표 최고관리자 09-18 9151
2027 [맛있는밥상]  식이섬유의 '힘'… 채소•해조류, 당뇨병•… 최고관리자 09-18 5546
2026 [생활백과]  차례상 준비 후 허리 결림 계속되면 척추질환 의심을 최고관리자 09-18 5202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