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10월4주] 무릎에서 '뚜둑' 십자인대파열, 치료 안해도 괜찮나요?
글쓴이 : 최고관리자 날짜 : 2021-10-27 (수) 16:47 조회 : 1556

https://www.mbn.co.kr/news/economy/4619771

 

무릎에서 '뚜둑' 십자인대파열, 치료 안해도 괜찮나요?

 

십자인대파열은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흔히 겪을 수 있는 부상이다. 무릎에 직접적인 타격 없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일반적인 통증이라고 생각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적절한 치료 없이 오랫동안 방치된 십자인대파열은 연골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십자인대는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로 구분되며 무릎 관절 내에서 십자 형태로 서로 엇갈려 있는 인대다. 십자인대는 허벅지뼈와 정강이뼈가 엇갈리지 않도록 잡아주면서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한번 파열된 십자인대는 경미한 부상이 아닌 이상 스스로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남성들 사이에서 십자 인대 파열이 빈번한 만큼 평소 운동을 즐기는 남자라면 더욱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십자인대파열로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는 5 6,276명으로 집계됐다. 성별로 보면 남성 환자가 4 725명으로 전체 환자의 72.3%를 차지했으며 1 5,551명으로 조사된 여성 환자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연령별로는 활동량이 많은 20대 환자가 1 5,754명으로 가장 많았고 30(1 807) 40(9,062)가 그 뒤를 이었다.


십자인대 파열은 무릎과 하체를 주로 사용하는 스포츠에서 흔히 발생한다. 대표적으로 축구, 농구, 핸드볼, 테니스 등을 예로 들어 볼 수 있다. 십자인대는 급격히 방향을 전환하거나 높은 곳에서 뛰어 착지하는 과정에서 파열되기 쉽다. 무릎을 앞뒤로 과하게 사용하거나 무릎에 심한 회전이 가해질 때는 움직임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십자인대 파열은 갑작스러운 통증과 함께 '' 하는 파열음이 들릴 수 있다. 이후 무릎에 붓기가 차오르면서 관절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게 된다. 무릎을 꿇거나 쪼그려 앉는 자세가 어려워지며 계단을 오르내릴 때 무릎이 불안정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십자인대 파열로 발생한 통증은 1~2주 동안 지속 되다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데, 통증이 줄다 보니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하지만 십자인대 파열로 발생한 관절 내 불안정성은 비정상적인 연골 마찰을 일으키며, 이는 연골 손상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십자인대파열 치료는 환자의 평소 활동 수준, 관절의 불안정 정도, 인대의 손상 정도를 고려해 선택하게 된다.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고 2차 손상의 위험이 적은 경우라면 보조기 착용과 약물치료, 재활 치료 등을 꾸준히 진행하면서 증상 호전을 기대해볼 수 있다. 하지만 파열 범위가 넓거나 연골손상 등의 2차 손상이 우려된다면 인대를 재건하는 수술치료를 고려해봐야 한다. 최근에는 손상 부위를 절개하지 않고 작은 구멍 두 개를 내어 내시경으로 수술을 진행하기 때문에 합병증이 적고 심리적으로 부담이 덜하다는 장점이 있다.

 

<매일경제> 이병문 기자

<* 지면 구성상 내용을 일부 편집 했습니다>




 


이름 패스워드
html
비밀글 (체크하면 글쓴이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

게시물 5,265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010 [마케팅뉴스]  [11월1주] 발병 후 5년 내 60~70% 사망하는 '심부전' … 최고관리자 11-04 1412
5009 [재테크]  [10월4주*] 연금 찾아쓰기 전 알아두면 좋은 팁 최고관리자 10-27 1566
5008 [맛있는밥상]  [10월4주*] 파인애플과 포크소테로 일본식 레트로 요리를 집에서… 최고관리자 10-27 1926
5007 [통계자료]  [10월4주] 작년 사망자 수 처음 30만명 넘어… 4명 중 1명이 ‘… 최고관리자 10-27 1389
5006 [웰빙]  [10월4주] 황학산산림욕장, 가을에 걸으면 더 좋은 길 최고관리자 10-27 2240
5005 [success]  [10월4주] “베를린 필 작곡상, 스승의 꾸지람 덕분에 받았습니… 최고관리자 10-27 2394
5004 [생활백과]  [10월4주] 운동 열심히 하면, 먹는 양 안 줄여도 살 빠질까? 최고관리자 10-27 1515
5003 [마케팅뉴스]  [10월4주] 탄수화물 대비 지방섭취 부족하면 만성콩팥병 발생 위… 최고관리자 10-27 1452
5002 [건강]  [10월4주] 무릎에서 '뚜둑' 십자인대파열, 치료 안해… 최고관리자 10-27 1557
5001 [통계자료]  [10월3주] 지난해 사망 30만명 넘어…1030 자살 증가 최고관리자 10-21 2245
5000 [마케팅뉴스]  [10월3주*] 60세 넘은 국민연금 가입자, 더 낼까 말까 최고관리자 10-21 1464
4999 [success]  [10월3주*] 14년간 44만명 치료 ‘캄보디아의 슈바이처’ 최고관리자 10-21 1484
4998 [맛있는밥상]  [10월3주] 겨울 같은 가을… '감기' 막아줄 식품 4 최고관리자 10-21 1861
4997 [생활백과]  [10월3주] 매일 '전신 사진' 찍었더니… 의외의 효과… 최고관리자 10-21 2351
4996 [마케팅뉴스]  [10월3주] 췌장염, 치료 안 하면 췌장암 된다? 최고관리자 10-21 1522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